예배안내
주보
주보 모음
설교 영상
설교 원고
찬양
실시간 예배
2015년 이전 설교

빛으로 소금으로

날짜 : 2013.01.06
예배명 : 신년예배
설교자 : 이영길 목사
제목 : 빛으로 소금으로
성경본문 : 마태복음 5:13-16

http://kcbostonmedia.cponsolny.com/Sermon_video_master/Sermon_20130106.wmv

1970년대 빠삐용이라는 영화가 있었습니다. 아마 그 당시 한국에 계셨던 분들은 거의 모두 보셨을 줄 압니다. 어떤 분은 두 번씩 보신 분도 있다고 합니다. 저도 아직도 그 영화가 저의 삶 한 구석에 계속 남아 있는 듯합니다. 특히 빠삐용이 탈출하기 위해 높은 산 위에서 바다로 뛰어내리는 장면은 아직도 눈에 선하게 남아 있습니다.

어느 분이 이 영화에 대한 글을 쓴 것을 접해 보았습니다. 그 영화에 이런 장면이 나옵니다. 누명을 쓰고 잡혀 와서 억울한 빠삐용은 탈옥을 시도하지만 번번이 실패하고 그 때문에 형기가 늘어 결국 종신형이 선고됩니다. 그러던 어느 날 그는 꿈속에서 법정에 서게 됩니다. 자신은 죄가 없다고 결백을 주장합니다. 억울함을 호소합니다. 그러나 재판관은 가차 없이 유죄를 선고하는데, 그의 죄명은 다름 아닌 ‘인생을 낭비한 죄’였습니다.
빠삐용에 대해 글을 쓰고 있는 저자는 계속해서 다음과 같은 글을 이어 갑니다. 그는 ‘빠삐용’하면 법정스님이 생각난다고 합니다. 이유는 법정스님은 빠삐용 의자를 손수 만들고 그 의자에 즐겨 앉곤 하였다고 합니다. 그 의자에 앉아서 스님은 말한다고 합니다.
“빠삐용이 망망대해에 떠 있는 감옥에 갇힌 건 인생을 낭비한 죄였거든. 이 의자에 앉아 나도 인생을 낭비하고 있지는 않는지 생각해 보는 거야.”

사실 신년예배를 맞이하여 법정스님처럼 빠삐용 의자를 만들자고 말씀드리는 것은 아닙니다. 물론 새해를 맞이했으니 많은 분들이 인생을 낭비하지 않겠다는 결심을 안고 이 시간 예배드리실 줄 압니다.
저도 이 글을 읽은 후 제가 자주 앉는 의자에 앉아서 생각해 보았습니다. ‘빠삐용 의자.’ ‘인생을 낭비하지 말자.’ 그런데 느낌이 별로였습니다. 쉼과 안식의 느낌 보다는 죄의식을 더 불러일으키는 느낌이었습니다. 더 감동적인 이름이 없을까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런데 금방 그 이름이 떠올랐습니다. 무엇이겠습니까?
‘감사의 의자’가 떠올랐습니다. 저는 제가 자주 앉는 의자의 이름을 ‘감사의 의자’라고 붙였습니다. 쉼과 아울러 더 진취적인 생각에 젖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그 후 그 의자에 앉을 때마다 ‘감사’의 마음이 저절로 생기는 것을 체험하고 있습니다. 교우님들도 꼭 해 보시기 바랍니다.

새해의 결심(resolution)을 아직 안 만드신 분들 이것을 권합니다. 아주 쉽습니다. ‘감사의 의자’를 만드시기 바랍니다. 올 한 해가 그 어느 해 보다도 특별한 해가 될 줄 압니다.
작년도 저희 교회 표어가 ‘감사하는 회중’이었습니다. ECC건축과 더불어 바쁘게 지낸 수년을 뒤로 하고 조용히 감사를 통해서 하나님의 축복을 헤아리면서 지냈던 한 해였습니다. 작년도 하나님께서는 우리 모두에게 감사의 의자를 허락하신 것입니다. 그래서 함께 일 년을 감사하면서 지냈습니다.

오늘 신년예배를 맞아 하나님께서는 이처럼 ‘감사의 의자’에 앉아 있는 우리들에게 어떤 말씀을 하실까요?

오늘 본문 말씀은 어떻게 보면 감사의 의자에 앉아 있는 사람들에게 말씀하시는 주님의 메시지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오늘 본문 말씀은 예수님의 산상수훈입니다. 오늘 본문 말씀의 배경은 5:1절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예수께서 무리를 보시고 산에 올라가 앉으시니 제자들이 나아온지라.”

이때만 해도 아직 완전히 예수님의 12제자가 임명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니 여기에서의 제자들은 예수님께 큰 기대를 안고 따라다니는 사람들이라고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한편 무리를 보시고 산에 올라가 앉으신 것을 봐서 모든 사람에게 열려져 있는 기회였습니다. 그런데 그 무리들은 어떤 무리인지를 4: 23-25절에 기록되어 있는데, 예수님으로부터 병 고침을 받았거나 그런 주님의 모습을 본 자들임을 알 수 있습니다.
곧 지금 예수님 앞에 모여 있는 자들은 예수님이 메시아라고 생각하면서 어떤 사람은 병 고침을 받았고 어떤 사람들은 놀라운 기적을 보고 따라온 사람들입니다. 이들은 모두 감사한 마음과 큰 기대를 안고 주님을 따라 온 자들입니다. 이런 자들에게 주님은 입을 열어서 주옥과 같은 말씀을 하십니다.

“심령이 가난한 자는 복이 있나니 천국이 그들의 것임이요.”

언제나 들어도 좋지 않습니까? 곧 8복을 하나하나 말씀하십니다.

“마음이 청결한 자는 복이 있나니 그들이 하나님을 볼 것임이요.”

듣는 무리들의 마음은 한 말씀 한 말씀에 가슴이 짜릿짜릿함을 느낍니다.

“나로 말미암아 너희를 욕하고 박해하고 거짓으로 너희를 거슬러 모든 악한 말을 할 때에는 너희에게 복이 있나니….”

그동안 자기들을 괴롭혔던 병마에게서 나음을 입은 것만으로도 너무 감사했는데 그것과는 비교도 안 되는 감사에 사로잡힙니다. 생전 처음 들어 보는 기가 막힌 말씀입니다. 감사의 의자에 앉아 있는 그들은 감사가 넘쳐 황홀한 경지에 이릅니다.
이제 그 유명한 8복을 말씀하신 후 잠시 쉬시더니 다시 입을 여십니다. 모든 무리는 또 어떤 주옥과 같은 말씀을 하실까 큰 기대를 갖습니다.

“너희는 세상의 소금이니 소금이 만일 그 맛을 잃으면 무엇으로 짜게 하리요 후에는 아무 쓸 데 없어 다만 밖에 버려져 사람에게 밟힐 뿐이니라.”

초보 신앙인들 말고는 대개 마태복음에 산상수훈이 기록된 것을 잘 아십니다. 그리고 산상수훈의 첫 말씀이 8복임을 잘 압니다. 이 8복이 산상수훈의 정수입니다.
그러나 8복을 마친 후 하신 첫 말씀이 무엇인지는 기억하시는 분들이 많지 않을 것입니다. 바로 그 말씀이 “너희는 세상의 소금이니….”
그리고 그 다음이 “너희는 세상의 빛이라 산 위에 있는 동네가 숨겨지지 못할 것이요.”

보통 우리가 ‘빛과 소금’ 이렇게 표현하지 않습니까? 그래서 의례히 주님도 빛에 대해서 먼저 말씀하시고 그 다음 소금에 대해서 말씀하셨으리라 생각하게 됩니다. 그런데 ‘빛과 소금’이 아니라 ‘소금과 빛’입니다. 예수님은 소금을 먼저 강조하셨습니다. 왜 소금을 먼저 강조하셨을까요? 그 이유는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소금은 세상을 보존합니다. 세상이 보존된 후에 빛이 의미가 있지 세상은 다 썩어 없어졌는데 빛이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썩은 모습만 보게 하지…. 한 마디로 세상이 보존되어야지 복도 의미가 있고 빛도 자기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주님은 감사의 의자에 앉아 있는 제자들과 무리들에게 8복을 말씀하신 후, 첫 번째로 “너희는 소금이다”말씀하시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소금이 없으면 8복도 의미가 없기 때문입니다. 아니 8복뿐 아니라 빛도 의미가 없고 산상수훈에서 하시는 그 주옥과 같은 말씀이 다 의미가 없습니다.

그렇다면 오늘 감사의 의자에 앉아 신년예배를 드리는 우리들에게도 같은 말씀을 하시지 않으실까요?

“너희는 세상의 소금이다.”

요즘 세상이 어떻게 되어 가고 있는지를 말해주는 통계자료를 하나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2011년도에 미국에 3백6십만 명의 아이가 태어났다고 합니다. 그 중 41% 아기들이 미혼모에게서 태어났다고 합니다. 지난 크리스마스 때 저희 교회에서는 6명의 아이들에게 유아세례를 베풀었습니다. 미혼모 자녀는 아무도 없었습니다. 우리가 보는 세상과 현재의 세상은 전혀 다른 것입니다. 매해 1백4십4만 명의 아기들이 정상적으로 결혼한 부모들에게서 태어나지 못했다는 것입니다. 아기들의 잘못일까요?
1960년도에는 5%가 미혼모에게서 태어났다고 합니다. 1995년도에는 32%가 미혼모에게서 태어났다고 합니다. 2008년에 이미 41%가 되었습니다. 더 이상 통계적으로는 줄지 않고 있습니다. 다행히 늘지도 않고 있습니다.

그러나 41%에 다행히 멈추었지만 매해 태어나는 아기들 중에 41%라는 숫자는 이미 있는 미혼모의 자녀들의 숫자에 계속 더해지는 것입니다. 그러니 실질적으로 미혼모 자녀들은 폭발적으로 늘고 있는 것입니다. 매해 1백4십만 명씩 더해 가고 있으니 말입니다.

참고적으로 우리가 사는 매사추세츠 주를 살펴볼까요? 1995년에 미국 평균은 32%이었는데 매사추세츠 주는 26%이었습니다. 평균 보다는 낮죠. 2009년도에는 35%가 되었습니다. 약 10%가 증가되었습니다.
미국에서 가장 낮은 주는 어디겠습니까? 몰몬이 강한 유타 주입니다. 1995년도에 16% 2009년도에 1%가 오른 17%가 되었습니다.
가장 높은 주는 어디겠습니까? 루이지애나 주입니다. 1995년도에는 벌써 42%, 2009년도에는 54%, 태어나는 아이들의 반 이상이 미혼모 자녀입니다.

제가 인종차별을 조장하기 위해서 말씀드리는 것이 아닙니다. 어느 인종이 얼마나 되는지 알아야 소금의 직분을 잘 감당할 수 있다고 생각되어서 인종별 통계도 말씀드립니다.
이것은 2011년도 통계입니다. 아시안 계가 제일 낮습니다. 17%, 백인이 29%, 히스패닉이 53%, 꽤 높습니다. 가장 눈물겨운 통계는 흑인입니다. 72%입니다.
히스패닉과 흑인들의 인구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 것은 우리 모두 잘 아는 사실입니다. 그런데 안타까운 것은 이들의 대부분이 미혼모 가정에서 태어난다는 사실입니다.
예수님께서 왜 소금이 되라고 먼저 말씀하셨는지 주님의 심정이 이해가 됩니다.

그런데 어떻게 보면 주님은 감사의 의자에 앉아 있는 제자들에게 너무 엄청난 것을 요구하고 계신 것은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8복을 말씀하시자마자 어떻게 이런 엄청난 역할을 하라고 하시는지 좀 의아한 생각이 듭니다. 감사만 하면 이 엄청난 과업을 해낼 수 있을까요? 아니면 8복만 외우고 있으면 놀라운 지혜가 생기던가 아니면 큰 능력이 생겨서 사회를 확 뒤집어 놓을 수 있게 되나요? 물론 그럴 수도 있겠습니다만…. 하여튼 다시 한 번 주님의 말씀을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너희는 세상의 소금이니 소금이 만일 그 맛을 잃으면 무엇으로 짜게 하리요. 후에는 아무 쓸 데 없어 다만 밖에 버려져 사람에게 밟힐 뿐이니라.”

뭔가 보이는 게 있습니다. ‘소금이 그 맛을 잃으면’의 말씀에 깊은 뜻이 담겨져 있는 것 같습니다. 소금이 소금이 되기만 하라는 것입니다. 소금이 소금의 맛만 유지하고 있으라는 것입니다.
‘너희는 세상의 소금이니 세상을 썩지 않게 하라’ 말씀하시지 않습니다. 도리어 ‘너희는 소금이니 소금의 맛을 유지하라’ 말씀하십니다.
사회가 막 썩는 냄새가 난다고 하는데 거기에 연연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도리어 너의 맛을 잃지 말라고 말씀하십니다. 사회가 썩고 안 썩고는 하나님 소관인 것 같습니다.
그러면 이렇게 결론을 내릴 수 있습니다. 사회에 왜 이처럼 미혼모가 많아졌습니까? 이유는 기독교인들이 소금의 맛을 잃었기 때문입니다.

미국 텍사스 어느 여인의 묘지의 묘비에 쓰여 있는 글입니다.
“살아 있는 동안 잠들다,
그러나 쉬지는 못하다.
사랑하다.
그러나 사랑받지는 못하다.
즐겁게 해주려 애쓰다,
그러나 즐김을 받지는 못하다.
그렇게 살았듯이 그렇게 죽다.
외롭게 살았듯이 외롭게 죽다,”

왜 이 분이 이런 고백을 남기고 세상을 떠났나요? 자기에게 쉼을 주는 사람을 찾지 못했습니다. 자기에게 즐거움을 주는 사람을 만나지 못했습니다. 누가 이웃에게 쉼을 주고 이웃에게 즐거움을 줄 수 있겠습니까? 소금의 맛을 지니고 있는 사람들이 아닐까요?
한 사람이라도 가끔 이 여인의 즐거움이 되었다면 이 여인의 삶은 달라졌을 것입니다.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소금의 맛을 지니고 있는 사람은 바로 이웃을 즐겁게 해주는 것을 즐거움으로 삼고 사는 사람들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우리는 정말 예수 믿기 쉬운 때 살고 있습니다. 다름 아니라 이웃을 즐겁게 해주기가 너무 너무 쉬운 때 살고 있습니다. 이유는 두 가지입니다.

요즘처럼 자기의 즐거움을 찾기에 혈안이 된 시대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누구나 다 자기의 즐거움을 추구하는 시대이기에 아무도 즐겁게 해주는 사람이 없습니다. 그러니 반대로 이웃을 즐겁게 하기는 너무도 쉬운 시대가 된 것입니다. 사람들은 자기를 즐겁게 해 주는 사람을 기다리고 또 기다리고 있습니다.

한편 요즘 이메일이니 문자메시지 등이 판을 치고 있는데 이럴 때일수록 아주 쉬운 방법이 있습니다. 목소리 듣기를 좋아하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전화로 연락해 보세요. 너무도 좋아 합니다. 저는 설교 전에 친필로 편지를 씁니다. 이메일 받는 것 보다 무척 좋아들 하십니다. 물론 저도 이메일 정도는 잘 합니다. 문명의 이기가 발달될수록 거꾸로 가면 아주 즐거워합니다.
큰 돈 들일 필요도 없습니다. 여러분의 목소리, 친필, 손수 만든 쿠키…, 이 모든 것과 더불어 여러분의 마음을 보내시기 바랍니다. 문명의 이기를 앞서나가기는 쉽지 않습니다. 많은 재정이 필요합니다. 문명을 거꾸로 가 보시기 바랍니다. 여기저기서 즐거움의 탄성 소리가 들릴 것입니다. 이것이 현대문명의 급소입니다. 이 급소는 소금이 필요합니다. 여러분이 바로 소금입니다. 곧 이웃을 즐겁게 해주겠다는 마음이 바로 소금입니다.

오늘 신년예배로 드립니다. ‘빛으로 소금으로’ 라는 설교 제목으로 말씀을 드립니다. ‘빛으로 소금으로’라는 설교 제목은 지난 제직회 때 말씀드린 대로 새해 저희 교회 표어입니다. 신년도 표어와 제 설교 내용과는 좀 상충한다고 생각하실 것입니다.
그러나 저도 저 나름대로는 깊은 뜻이 있어서 이러한 표어를 정했습니다. 저희 교회가 올 해 60주년을 맞이합니다. 여러 가지 행사도 치룰 예정입니다. 한 마디로 이민 교회로서 60년을 지내왔다는 자체가 먼저 큰 축복입니다. 아울러 그 자체가 빛의 역할을 하고 있는 셈입니다.
한편 3년 전에 ECC를 완공했습니다. ECC완공으로 인해 이 지역사회에 많은 일을 우리가 감당하게 되었습니다. 작게나마 빛의 역할을 감당하였습니다. 앞으로도 우뚝 선 ECC로 인해서 부르클라인 주민들에게 자연적으로 계속 빛의 역할을 할 수밖에 없는 위치가 되었습니다.

요약해서 말씀드리면, ‘빛으로 소금으로’의 표어에 담긴 뜻은, “그동안 부족하나마 빛의 직분을 감당케 된 것을 감사드립니다. 이제 감사의 의자에 앉아 있는 우리가 소금의 직분을 잘 감당케 하소서”라는 뜻이 담겨져 있는 셈입니다.

교우 여러분, 하나님께서 저희 교회에게 이처럼 60주년을 맞이하는 영광을 허락하셨습니다. 이 영광의 해를 맞이하기 위하여 우리는 지난 1년을 감사하는 회중이 되고자 노력했습니다. 이제 영광의 해가 시작됨과 아울러 주님은 이처럼 말씀하시지 않으실까요?

“너희는 세상의 소금이니 소금이 만일 그 맛을 잃으면 무엇으로 짜게 하리요. 후에는 아무 쓸 데 없어 다만 밖에 버려져 사람에게 밟힐 뿐이니라.”

교우 여러분, 어려운 중에 있는 사람들의 등을 살짝 밀어주십시다. 나머지는 하나님께서 일하십니다.

말씀을 거둡니다. 한국에서 나온 천주교 잡지에서 읽은 글입니다.

“인사동에 갔다가 화실 문이 잠겨 있어서 점심만 먹고 되돌아왔습니다. 비가 억수로 쏟아지는데 택시를 기다려도 모두 빈 택시가 없습니다. 그런데 마침 내 앞에서 내리는 손님이 있었습니다. 나는 잽싸게 앞자리에 올라탔습니다. 내가 기사에게 고맙다고 인사를 했더니 기사는 방금 내린 손님이 조금 더 가서 내려야 하지만 내가 서 있는 것을 보고 저 손님을 모시고 가라고 했답니다. 얼굴도 모르지만 그 마음에 고마움을 거듭 표하면서 즐겁게 사무실까지 왔습니다. 요금을 내려고 미터기를 보니 미터기가 0입니다. 기사에게 지적을 했더니 자기도 깜박했답니다. 기사도 그 사람의 행위에 감동을 받아 미터기를 돌리는 것을 잊었던 것입니다. 늘 타고 다니는 요금을 달라고 해서 그 금액을 드렸습니다.”

손님의 작은 행위가 기사와 이 분의 마음에 큰 감동을 준 것입니다. 이분이 바로 소금의 직분을 감당하는 자들이 아닐까요? 아마 이분은 늘 감사했던 사람이었을 줄 압니다. 아울러 늘 이웃을 작은 것으로 즐겁게 해주는 사람이었던 것 같습니다. 결국 이분이 바로 세상을 보존하는 작은 소금이 된 것입니다.

이러한 사람들이 많아질 때 하나님께서 만드신 세상은 아름답게 보존되지 않을까요?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결혼의 소중함과 자녀들의 아름다움이 더욱 빛나게 되지 않을까요? 이것이 오늘 교회에게 주신 사명이 아닐까요?

교우 여러분, 새 해에도 늘 감사한 마음으로 이웃을 사랑하십시다. 소금의 역할을 잘 감당하십시다.

“너희는 세상의 소금이니 소금이 만일 그 맛을 잃으면 무엇으로 짜게 하리요. 후에는 아무 쓸 데 없어 다만 밖에 버려져 사람에게 밟힐 뿐이니라.”

This entry was posted in 2015년 이전 설교. Bookmark the permalink.
No. Title Writer Date
291 아이의 손에 이끌리어 admin 2015.05.03
290 안식의 기쁨 admin 2015.04.26
289 나를 만져보라 admin 2015.04.12
288 갈릴리로 가라 admin 2015.04.05
287 아버지 저들을 사하여주옵소서 admin 2015.03.29
286 그를 기억하리라 admin 2015.03.15
285 나는 내 양을 알고 admin 2015.03.08
284 나의 친구라 admin 2015.03.01
283 은혜를 입은 자 admin 2015.02.08
282 푯대를 향하여 달려 가노라 admin 2015.02.01
< Prev 1 2 3 4 5 6 7 8 9 10 30 ... Next > 


The Korean Church of Boston (PCUSA) 32 Harvard St. Brookline, MA 02445
교회 : (617) 739 - 2663, (617) 277 - 8097 / Fax : (617) 739 - 1366 / 담임 목사 : 이영길 목사 (781) 467 - 0002
  Powered by The Korean Church of Boston